커피맛과 물 종류

Contents
☕ 커피 만들 때 ‘물’이 얼마나 중요한가요?
커피를 만들 때 가장 많이 들어가는 재료는 커피 원두도, 추출 도구도 아닙니다.
바로 물입니다. 한 잔의 커피 중 98~99%가 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그렇다면 어떤 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커피 맛이 얼마나 달라질까요?
1. 물의 경도(Hardness): 부드러운 물 vs 딱딱한 물
물의 경도는 칼슘(Ca) 과 마그네슘(Mg) 등의 미네랄 함량으로 결정됩니다. 이 수치가 높을수록 ‘센물(경수)’, 낮을수록 ‘부드러운 물(연수)’이라고 부릅니다.
| 구분 | 경수 (Hard Water) | 연수 (Soft Water) |
|---|---|---|
| 미네랄 함량 | 높음 (Ca, Mg 풍부) | 낮음 |
| 커피 맛 경향 | 쓴맛·탄맛 강조, 무겁고 둔한 맛 | 산미와 향미가 선명, 깔끔한 뒷맛 |
| 추천 원두 | 다크 로스트, 중남미산 | 라이트 로스트, 아프리카산 |
요약:
- 경수는 에스프레소나 진한 추출에 어울리고,
- 연수는 필터커피나 싱글오리진의 섬세한 향을 살려줍니다.
2. 물의 pH: 산성과 알칼리성의 미묘한 균형
물의 pH(산성도) 도 커피 맛에 영향을 줍니다.
- 약산성(pH 6~7): 커피의 과일향, 산미가 풍부하게 느껴짐
- 중성~약알칼리성(pH 7~8): 쓴맛이 강조되고, 밸런스가 안정됨
너무 산성인 물은 신맛이 과하게 느껴지고, 너무 알칼리성이면 밍밍하고 평평한 맛이 납니다.
3. 수질(정수, 생수, 수돗물)에 따른 차이
| 물 종류 | 특징 | 커피 맛 |
|---|---|---|
| 수돗물 | 염소 등 소독 성분이 있음 | 향미 손실, 비릿한 맛 발생 가능 |
| 정수기 물 | 불순물 제거, 미네랄 거의 없음 | 너무 ‘비어있는’ 맛, 산미 약화 |
| 생수 | 미네랄 적당, 브랜드별 편차 큼 | 안정적, 풍미 잘 표현 |
| 전용 커피워터(커피용 생수) | 커피 추출에 맞춘 경도 조정 | 향미 균형이 가장 좋음 |
👉 Tip:
가정에서는 미네랄 함량이 60~120 mg/L 정도의 생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.
(예: 삼땡수, 아땡시스 등은 연수 쪽 / 에땡앙, 볼땡은 경수 쪽입니다.)
4. 직접 비교 실험해보기
작은 실험으로도 큰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.
준비물:
- 동일한 원두 (예: 에티오피아 예가체프)
- 동일한 추출기구 (예: 모카포트)
- 서로 다른 물 3종 (정수기, 생수, 커피워터)
비교 포인트:
- 향의 강도
- 산미와 단맛의 균형
- 여운의 길이
결과: 대부분의 사람은 물에 따라 산미와 향의 표현력이 눈에 띄게 달라진다는 걸 바로 느낍니다.
결론: 좋은 물은 ‘투명한 조연’
커피는 결국 물 위에서 춤추는 향미의 예술입니다. 너무 강하거나 약한 물보다는, 커피가 가진 본연의 풍미를 돋보이게 해주는 물이 가장 좋습니다.
좋은 물은 커피 맛을 바꾸지 않는다. 다만, 커피가 가진 ‘진짜 맛’을 드러낼 뿐이다.



